직업평가센터
직업평가란
직업평가는 장애인의 직업적 흥미, 적성, 강점, 제한점 및 잠재능력을 파악·분석하기 위해 신체능력평가, 심리평가, 작업표본평가, 상황평가, 현장평가 등을 실시하는 직업재활서비스로써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재활 방향을 설정하고 효과적으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.
직업평가 효과
- 직업재활 서비스의 초기단계에서 장애인이 어떤 일이 가능한지 알아볼 수 있다.
- 작업의 수준과 강도는 어느 정도가 적절한지를 직업 배치 전에 예측해 볼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제시한다.
- 직업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직업재활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준다.
- 직업평가과정을 통하여 내담자 스스로도 자신의 장단점과 능력을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중요한 과정이다.
서비스 대상
직업평가를 희망하는 만 15세 이상 등록 장애인
직업평가가 필요한 사람
- 자신의 직업흥미나 잠재력을 알고 싶은 경우
- 진로결정이나 선택 시 도움을 받고자 할 경우
- 재활계획 수립과정에서 내담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할 경우
직업평가 유형
직업평가센터 초기면접 및 상담
- 장애인이나 가족의 욕구와 문제 파악
- 다양한 기초정보를 수집
- 직업재활 방향 및 직업평가 계획 수립
신체능력평가
- 장애인의 신체적 기능, 특징, 활용능력 등을 측정하여 직무수행에 필요한 신체 기능, 직업적 강점, 제한점 등을 파악
- 신체적능력평가 영역은 신체발달 정도, 기인성, 근력과 지구력, 운동범위, 협응능력 및 균형, 감각기능 등을 포함
심리평가
- 장애인의 발달수준, 심리적 특성, 행동양식, 자아인식과 행동, 직업흥미, 사회적응도 등을 판정
- 심리평가의 영역은 인지, 언어, 정서 및 성격, 사회적응도, 적성, 직업흥미 등을 포함
작업표본평가
-
장애인에게 실제 직업 상황과 유사한 작업 및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기대되는 직종을 스스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, 직업적성 및 흥미를
평가하며 그 결과들을 실제 작업상황과 결부시켜 직업선정과 직업적응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음
상황평가 및 현장평가
- 상황평가는 장애인이 일을 하게 될 현장과 유사한 구조화된 장소에서 관찰을 통해 직무수행 정도, 행동, 태도, 대인관계 등을 기록하는 과정
- 상황평가는 심리평가나 작업표본평가, 신체능력평가 등에서 관찰할 수 없는 중증장애인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음
- 현장평가는 실제 작업환경에서 직무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, 특정 직무의 생산성과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평가함
이용절차
